미군기지에 대해서

오키나와는 왜 기지를 거부 하는가

오키나와현민은 오키나와섬 북부, 헤노코(辺野古)에 미국 해병대 비행장 건설하는 것을 계속해서 반대하고 있다. 그 투쟁은 1996년 처음 건설계획이 확정 되어진 것을 시작으로, 현재까지 계속되고 있다. 오키나와현민의 기지반대에 대한 입장은 추상적인 평화주의에 따른 것이라기보다는 오히려, 실제의 경험을 통한 역사적인 것에 의거한다. 따라서 기지건설반대에 대한 열의, 용기, 강고한 입장을 이해하는 것에는 오키나와가 걸어온 역사에 대한 이해가 반드시 필요하다.

예전부터 존재했던 독립국가 류큐왕조는 1872년 일본에 의해 정복・식민지화 된 이후, 철저한 동화정책이 강제 되었다.

그 후, 제2차세계대전중의 처참한 오키나와전투를 걸쳐, 27년간 미국 군에 의한 군사정권(미군통치하)  에 놓여졌다. 1972년, 오키나와는 일본에[복귀] 하지만, 결과적으로 미국군기지는 그 후로 계속 증가하게 되었다. 이러한 모든 것의 경험이야말로 더 이상 미국 군이 계속 늘어나는 것을 거부하는 오키나와현민의 결의(決意)의 배경이다.

 

오키나와와 미군 기지

 

제2차 세계대전 최대 격전지 중 하나인 오키나와. 미군을 주체로 하는 연합군과 일본군 사이에서 약 3개월간에 걸쳐 치러진 격렬한 지상전으로 인해, 일본과 미국 양군과 민간인 모두 합쳐 20만 명 이상의 목숨이 빼앗겼다.

오키나와 전투는 제2차 세계대전 중 일본에서의 유일한 지상전이며, 지형이 바뀔 정도의 심각한 데미지를 오키나와에 주었다.

이 전투의 전리품으로서 미군이 손에 넣은 오키나와는 종전 뒤에도 27년간에 걸쳐 계속 미군의 통치 아래에 놓였다. 미군은 주민에게 총칼을 들이밀어 선조 대대로 살아온 땅에서 쫓아내고, 불도저로 집과 밭을 부수고, 연이어 기지를 만들어갔다.

전후 73년이 지난 현재도, 아직 오키나와현 토지의 약 10%가 미군기지에 점유되고 있다. 또한, 오키나와에 대한 일본 정부의 차별적 대우로 인해, 일본 전체 미군기지의 70%가 오키나와에 집중되어 있다.

주민의 바람도 공허하게, 기지 축소는 느릿느릿, 진전이 없다. 그뿐만 아니라, 아주 자그마한 토지를 반환하는 대신에 최신예 설비를 만든다는 수법으로 기지 기능 강화가 도모되어 왔다.

 

1995년 소녀 폭행 사건. 미군 해병대원 2명과 미국 해군 군인 1명 총 3명이 12세 여자 초등학생을 납치해 집단강간한 사건이다. 오키나와현민의 분노는 폭발하여, 미군기지 축소·철폐 요구 운동으로까지 발전하는 계기가 되었다.

운동이 고조됨에 따라, 미국은 그제야 겨우 기지 반환 교섭 테이블에 나왔다. 교섭 끝에 일본과 미국 양국 정부는 대규모 기지 반환 합의에 이르렀다.

그러면서도, 여기에서도 또 그 ‘수법’이 답습되었다. 주택지 한가운데에 위치한 후텐마 비행장이라는 위험한 기지를 반환하는 대신에, 같은 오키나와현내인 헤노코의 아름다운 바다를 매립하여 최신예 다기능 기지를 만들라는 것이다.  헤노코는 후텐마 기지에서 직선 거리로 불과 50 킬로미터 밖에 떨어져 있지 않다

헤노코(辺野古)・오우라만(大浦湾,오키나와현 나고시 위치)은 일본에서 가장 다양한 생물이 서식하는 것으로 유명하다. 산호초, 듀공이 서식하는 해초, 그리고 해저의 넓은 사지(砂地)는 다양한 생물의 요람이다. 이곳에서 오키나와 보물은 최대 위험을 맞이했다

현민은 반발했다. 여론조사에서는 70~80%가 기지 건설에 반대 의사를 나타내고 있다. 오키나와 현민은 미국에 대한 추종에 경도되는 일본 정부의 선거 개입이나 “당근과 채찍”을 튕겨내고, 헤노코 신기지 건설 여부의 쟁점이 된 모든 선거에서 기지 반대 후보를 승리시켰다. 그리고, 비폭력 불복종 정신에 기반하여, 연좌를 통해 공사를 저지하려 하고 있다.